가치투자 2

[재테크&책] 한국형 가치투자 _ 가치투자의 세계관 8가지

박곰희TV 영상을 보다가 하도 좋다고 극찬을 하기에 도서관에서 대여한 한국형 가치투자. 정리하면서 읽어보자. 생산수단을 소유하는 방법으로 주식을 선택하는 가치투자 가치투자의 세계관1. 장기적 낙관론비관론자는 명성을 얻지만 낙관론자는 돈을 번다.자본주의는 스스로를 치유하는 능력이 있는데 이는 인간이 가진 위기 극복 의지와 능력을 신뢰하는 것이다. 2. 회의주의독립적인 사고를 만드는 회의주의스켑티즘 Skeptism은 지식의 확실성에 의문을 던지는 것이다.낙관적이라는 것이 곧 무비판적인 것이 아니다.투자의사결정은 낙관론과 회의주의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일. 3. 주식시장은 능멸의 대가주식시장은 인과관계의 즉시성이 따르지 않는 시장이다.경기가 좋을 때 시장이 오르고, 좋은 소식이 많을 때 주가가 오르기보다는 암..

24.2.12 오늘의 메모 (슈카월드 코믹스 : 가치투자와 복리의 마법)

1. 가치투자 저평가된 기업의 주식을 가치보다 싼 가격에 매수하여 적정한 가격에 파는 일. 대표적으로 세계적인 투자자 워렌 버핏이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가장 원론적인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한국에서는 가치투자가 쉽지 않다는 시각이 많다. 낮은 주주환원율과 부족한 견제장치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덕분에 기업의 시가총액이 오르는 동안 주가지수는 거의 미미한 수준의 성장형태를 보인다. 나스닥 지수가 2000에서 14000으로 성장하는 동안 코스닥 지수는 1000에서 900으로 하락하는 수준을 보였다. (이러니 국내주식하면 바보라는 말도 하는 것이겠지.) 한국은 많은 자본과 투자가 부동산에 집중되고 있다. 주식이 부동산 보다 쉬운 이유들이 여러가지 있는 데도 말이..